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싱가포르 국립대학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
||
||
||
||
||
||
||
||
||
||
||
||
||



파일:세계경제포럼 로고.svg
Global University Leaders Forum (GULF)
글로벌대학리더포럼 소속 29 대학
||




파일:universitas 21 투명 로고.png
U21 국제 대학연합
Bridging Leading Global Universities
||
[ 펼치기 · 접기 ]

 U21 개요 

* Universitas 21 (이하 U21)은 지난 1997년 멜버른 대학교의 주도로 호주에서 설립된 국제 대학협력체다.
* 설립 당시 11개 회원대학으로 출범했으며, 이후 19개국 27개 대학 규모의 연구협력체로 성장했다.
* 소속 대학들 간의 연구협력 및 재학생 육성정책 공유를 통한 교육 혁신이 주요 목표다.
소속 대학 목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파일:영국 국기.svg 영국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고려대학교 원형엠블럼.svg
파일:Shield_of_the_University_of_Glasgow.png
파일:에든버러 대학교 아이콘.png
파일:버밍엄 대학교 아이콘.png
파일:노팅엄 대학교 아이콘.png
파일:유니버시티 칼리지 더블린 원형 아이콘.png
파일:와세다대학 문장.svg
고려대글래스고에든버러버밍엄노팅엄더블린와세다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코네티컷 대학교 아이콘.png
파일:University_of_Maryland_seal.svg
파일:UC Davis 아이콘.png
파일:멜버른 대학교 아이콘.png
파일:UNSW 원형 아이콘.png
파일:퀸즐랜드 대학교 아이콘.png
파일:시드니 대학교 아이콘.png
코네티컷메릴랜드UC 데이비스멜버른UNSW퀸즐랜드시드니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공
파일:UvA 아이콘.png
파일:Lunds_universitet_seal.png
파일:뢰번 가톨릭 대학교 아이콘.png
파일:취리히 대학교 아이콘.png
파일:몬테레이 공과대학교 아이콘.png
파일:맥마스터 대학교 원형 아이콘.png
파일:요하네스버그 대학교 아이콘.png
암스테르담룬드KU 뢰번취리히몬테레이맥마스터요하네스버그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파일:칠레 국기.svg 칠레파일:인도 국기.svg 인도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상하이교통대학 엠블럼.svg
파일:1200px-Fudan_University_Logo.svg.png
파일:홍콩대학 문장.svg
파일:NUS 아이콘.png
파일:칠레 교황청립 가톨릭 대학교 아이콘.png
파일:델리 대학교 문장.png
파일:오클랜드 대학교 원형 아이콘.png
상해교통대학푸단대학홍콩대학NUS폰티피카델리오클랜드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LinkedIn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틀 바로가기



파일:LSGL_Logo_bgremoved.png
로스쿨 글로벌 리그
Law Schools Global League
||
[ 펼치기 · 접기 ]

 LSGL 개요 

* Law Schools Global League (이하 LSGL)는 세계의 서로 다른 법률 및 법령 체계에 대한 이해와 학문적 토론 및 연구를 촉진하기 위해 지난 2012년에 결성됐다.
* 국제법 및 법률 실무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점 해결을 위한 토론 활성화와 소속 로스쿨들 간 연구협력 장려 및 미래 법조인 육성이 주요 목표다.

 주의사항 

* 취소선: 모스크바 고등경제대학교는 러시아 총장 협회의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지지 성명에 동참함에 따라 3월 18일부로 회원권이 정지되었다.
소속 로스쿨 목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파일:일본 국기.svg 일본파일:중국 국기.svg 중국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서울대학교 원형 엠블럼.svg
파일:NUS 아이콘.png
파일:규슈대학 엠블럼.svg
파일:우한대학교 로고_배경제거.png
파일:CUPL-Official logo.png
파일:홍콩중문대학 로고.svg
파일:O. P. 진달 글로벌 대학교 문장_배경제거.png
서울대NUS규슈대학우한대학중국정법대학홍콩중문대학JGU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IDC_logo_White.svg.png
파일:코츠 대학교 로고_배경제거.png
파일:UNSW 원형 아이콘.png
IDC 헤르츨리야KOÇUNSW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
파일:노스웨스턴 대학교 원형 아이콘.png
파일:캘리포니아 대학교 로스앤젤레스 캠퍼스 아이콘.png
파일:조지타운 대학교 원형 아이콘.png
파일:맥길 대학교 아이콘.png
파일:멕시코 기술자치대학교 아이콘.png
파일:Fundação Getulio Vargas_Logo_01.png
파일:로스안데스 대학교(콜롬비아) 아이콘.png
노스웨스턴UCLA조지타운맥길ITAMFGV로스안데스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파일:독일 국기.svg 독일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KCL 아이콘.png
파일:에든버러 대학교 아이콘.png
파일:퀸스 대학교 벨파스트 원형 아이콘.png
파일:아일랜드 국립 대학교 골웨이_아이콘.png
파일:Siegel_der_Albert-Ludwigs-Universität_Freiburg.png
파일:EBS 경영 및 법학대학 로고_배경제거.png
파일:튈뷔르흐 대학교 로고_배경제거.png
KCL에든버러QUBNUI 골웨이프라이부르크EBS틸뷔르흐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야기엘론스키 대학교(JU) 원형 아이콘.png
파일:Stockholm University Logo.png
파일:토리노 대학교 원형 아이콘.png
파일:IE_University_logo.svg.png
파일:포르투갈 가톨릭 대학교 문장.png
파일:모스크바 고등경제대학교 로고_배경제거.png
야기엘론스키스톡홀름토리노IE 대학UCP{{{-1 {{{#351015,#white 고등경제대학}}}}}}*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공파일:케냐 국기.svg 케냐
파일:UCT 아이콘.png
파일:프리토리아 대학교 문장_배경제거.png
파일:스트라스모어 대학교 문장_배겅제거.png
케이프타운프리토리아스트라스모어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LinkedIn 아이콘.svg | 틀 바로가기



파일:1024px-CEMS_with_baseline_logo.svg.png
[ 펼치기 · 접기 ]

 CEMS 개요 

* CEMS는 1988년 설립된 경영학 교육(Management Education)을 위한 국제 협력체로 34개의 경영대학원, 70여개의 기업, 8개의 NGO가 참여하고 있다.
* 하단의 회원 경영대학원들은 CEMS가 관장하는 국제경영학 석사학위(CEMS Master in International Management)를 수여할 수 있다.
국가경영대학원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파일:코넬 대학교 문장.svg 코넬 대학교 사무엘 커티스 존슨 경영대학원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파일:Fundação Getulio Vargas_Logo_01.png 제툴리우 바르가스 재단 경영대학원 (FGV-EAESP)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파일:Escude_de_la_Universidad_Adolfo_Ibañez.png 아돌포 이바녜스 대학교 (UAI) 경영대학원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파일:University_of_Los_Andes_logo.svg.png 로스안데스 대학교 경영대학원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파일:웨스턴 온타리오 대학교 원형 아이콘.png 웨스턴 대학교 아이비 경영대학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파일:고려대학교 원형엠블럼.svg 고려대학교 경영전문대학원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파일:Keio pen.svg.png 게이오기주쿠대학 경영대학원(Keio Business School)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파일:1024px-IIM_Calcutta_Logo.svg.png 콜카타 인도 경영연구소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파일:NUS 아이콘.png 싱가포르 국립대학 경영대학원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파일:칭화대의 로고.svg 칭화대학 경영대학원 (SEM)파일:HKUST 원형 아이콘.png 홍콩과기대학 경영대학원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파일:코츠 대학교 로고_배경제거.png 코츠 대학교 경영대학원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파일:시드니 대학교 아이콘.png 시드니 대학교 경영대학원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파일:UCT 아이콘.png 케이프타운 대학교 경영대학원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파일:AUC_English_Logo_2021.png 카이로 아메리칸 대학교 (AUC) 경영대학원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파일:NHH_logo_2007.png 노르웨이 경제대학교 (NHH)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파일:에라스무스 대학교 로고.png 에라스뮈스 대학교 로테르담 경영대학원 (RSM)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파일:UniKoeln.png 쾰른 대학교 경영대학원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파일:1024px-Logo_CopenhagenBusinessSchool.svg.png 코펜하겐 비즈니스 스쿨 (CBS)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파일:상트페테르부르크 경영대학원 (GSOM) 로고.png 상트페테르부르크 경영대학원 (GSOM)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파일:루뱅 가톨릭 대학교 아이콘.png 루뱅 가톨릭 대학교 경영대학원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파일:University of St. Gallen logo.png 장크트갈렌 대학교 경영대학원 (SoM)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파일:1024px-Stockholm_School_Of_Economics_Logo.svg.png 스톡홀름 경제대학교 (SSE)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파일:ESADE 로고.png ESADE 경영대학원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파일:유니버시티 칼리지 더블린 원형 아이콘.png UCD 마이클 스머핏 경영대학원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파일:런던 정치경제대학교 아이콘.png 런던 정치경제대학교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파일:1024px-Logo_Wirtschaftsuniversität_Wien.svg.png 빈 경영경제대학교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파일:보코니 대학교 엠블럼.png 보코니 대학교 SDA 경영대학원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파일:VSE_Seal.png 프라하 경제대학교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파일:노바 경영경제대학 로고.png 노바 경영경제대학 (Nova SBE)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파일:SGH 바르샤바 경제 학교 로고.png 바르샤바 경제대학교 (SGH)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파일:HEC Paris 로고.png 파리 고등상업학교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파일:1200px-Aalto_University_logo.svg.png 알토 대학교 비즈니스 스쿨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파일:코르비누스 대학교 아이콘.png 부다페스트 코르비누스 대학교 경영대학원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LinkedIn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틀 바로가기




파일:AUN logo.png
아세안(ASEAN) 대학 네트워크
[ 펼치기 · 접기 ]

파일:브루나이 국기.svg 브루나이파일:브루나이 다루살람 대학교 문장.png 브루나이 다루살람 대학교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파일:프놈펜 왕립대학교 문장.png 프놈펜 왕립대학교
파일:Logo_of_Rule_Cambodia.png 왕립 법과 경제 대학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파일:471px-UI_Logo.svg.png 인도네시아 대학교
파일:Gadjah_Mada_University_Logo.gif 가자마다 대학교
파일:1280px-Institut_Teknologi_Bandung_logo.svg.png 반둥 공과대학교
파일:Logo-unair-color-316_x_316.png 아이를랑가 대학교
파일:라오스 국기.svg 라오스파일:라오스 국립대 문장.png 라오스 국립대학교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파일:말라야 대학교 문장.svg.png 말라야 대학교
파일:말레이시아 국민대학교 로고.png 말레이시아 국민대학교
파일:말레이시아 과학대학교 로고.png 말레이시아 과학대학교
파일:말레이시아 푸트라 대학교 로고.png 말레이시아 푸트라 대학교
파일:우타라 말레이시아 대학교 엠블럼.png 우타라 말레이시아 대학교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파일:양곤 대학교.png 양곤 대학교
파일:양곤 경제원 로고.jpg 양곤 경제원
파일:만달레이 대학교 교표.png 만달레이 대학교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파일:필리핀 대학교 문장.svg.png 필리핀 대학교
파일:마닐라 아테네오 대학교 문장.svg.png 마닐라 아테네오 대학교
파일:드라살 대학교 문장.svg.png 드라살 대학교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파일:NTS 아이콘.png 난양 공과대학
파일:NUS 아이콘.png 싱가포르 국립대학
파일:싱가포르 경영대학 로고.svg 싱가포르 경영대학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파일:Phra_Kiao.svg 쭐랄롱꼰 대학교
파일:부라파 대학교 문장.png 부라파 대학교
파일:치앙마이 대학교 로고.jpg 치앙마이 대학교
파일:마히돌 대학교 로고.png 마히돌 대학교
파일:송클라 대학교 문장.svg.png 송클라 대학교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파일: 하노이 국립대학교 로고.svg.png 하노이 국가대학
파일:베트남 호치민 국립대 로고 Full.png 호찌민시 국가대학
파일:껀터 대학교 로고.png껀터 대학


파일:세계국제관계대학연합 로고.gifAssociation of Professional Schools of International Affairs
세계국제관계대학연합
||
[ 펼치기 · 접기 ]

회원 대학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파일:고려대학교 원형엠블럼.svg 고려대학교파일:서울대학교 원형 엠블럼.svg 서울대학교파일:연세대학교 문장.svg 연세대학교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파일:리츠메이칸 대학교 아이콘.png 리츠메이칸대학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파일:NUS 아이콘.png 싱가포르 국립대학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파일:university of denver logo.png 덴버 대학교파일:듀크 대학교 아이콘.png 듀크 대학교파일:University_of_Maryland_seal.svg 메릴랜드 대학교
파일:미네소타 대학교 트윈 시티 캠퍼스 아이콘.png 미네소타 대학교파일:미시간 대학교 아이콘.png 미시간 대학교파일:USC 아이콘.png 서던 캘리포니아 대학교
파일:스탠퍼드 대학교 아이콘.png 스탠퍼드 대학교파일:시라큐스 대학교 원형 아이콘.png 시라큐스 대학교파일:아메리칸 대학교 휘장.svg 아메리칸 대학교
파일:예일 대학교 미니 아이콘.png 예일 대학교파일:워싱턴 대학교 아이콘.png 워싱턴 대학교파일:조지 워싱턴 대학교 원형 아이콘.png 조지 워싱턴 대학교
파일:Georgia_Tech_seal.svg 조지아 공과대학교파일:조지타운 대학교 원형 아이콘.png 조지타운 대학교파일:JHU 아이콘.png 존스 홉킨스 대학교
파일:UC 샌디에이고 아이콘.png UC 샌디에이고파일:컬럼비아 대학교 원형 아이콘.png 컬럼비아 대학교파일:터프츠 대학교 로고.png 터프츠 대학교
파일:텍사스 A&M 아이콘.png 텍사스 A&M 대학교파일:텍사스 대학교 오스틴 아이콘.png 텍사스 대학교 오스틴파일: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교 아이콘 원형 아이콘.png 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교
파일:프린스턴 대학교 원형 아이콘.png 프린스턴 대학교파일:Florida_Internation_University_seal.svg 플로리다 인터내셔널 대학교파일:피츠버그 대학교 원형 아이콘.png 피츠버그 대학교
파일:하버드 대학교 아이콘.png 하버드 대학교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파일:Carleton University logo.png 칼턴 대학교파일:UofT 아이콘.png 토론토 대학교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파일:hertie school logo.webp 헤르티 스쿨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파일:시앙스포 아이콘.png 파리 정치대학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파일:Stockholm_School_Of_Economics_Logo.png 스톡홀름 경제대학교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파일:GenevaGraduateInstitute_website.png 국제개발대학원파일:Uni_St_Gallen_Logo.png 장크트갈렌 대학교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파일:IE_University_logo.png IE 대학교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파일:mgimo logo.png 모스크바 국립국제관계대학교
제휴 회원 대학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파일:IUJ logo.png 고쿠사이대학파일:와세다대학 문장.svg 와세다대학파일:Utsunomiya University logo.png 우쓰노미야대학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파일:국립정치대학 엠블럼.svg 국립정치대학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파일:NTS 아이콘.png 난양 공과대학교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88px-NC_State_Seal.svg.png 노스캐롤라이나 주립대학교파일:뉴욕 대학교 아이콘.png 뉴욕 대학교파일:DePaul_U_Seal.svg.png 드폴 대학교
파일:University_of_Miami_seal.svg 마이애미 대학교파일:보스턴 대학교 아이콘.jpg 보스턴 대학교파일:브랜다이스 대학교 원형 아이콘.png 브랜다이스 대학교
파일:Seton_Hall_University_Seal.svg 시튼홀 대학교파일:애리조나 주립대학교 아이콘.png 애리조나 주립대학교파일:윌리엄 & 메리 대학교 아이콘.png 윌리엄 & 메리 대학교
파일:조지 메이슨 대학교 아이콘.png 조지 메이슨 대학교파일:조지아 대학교 아이콘.png 조지아 대학교파일:CMU 원형 아이콘.png 카네기 멜런 대학교
파일:Pepperdine_University_seal.svg 페퍼다인 대학교파일:포덤 대학교 아이콘.png 포덤 대학교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파일:워털루 대학교 문장.svg 워털루 대학교파일:트렌트 대학교 아이콘.png 트렌트 대학교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파일:모내시 대학교 아이콘.png 모내시 대학교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파일:제네바 대학교 아이콘.png 제네바 대학교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파일:Diplomatic_Academy_Vienna.png 빈 외교 아카데미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파일:1024px-Logo_-_Prague_University_of_Economics_and_Business.png 프라하 경제대학교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파일:IBEI logo.png IBEI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파일:logo-uec.webp 콜롬비아 엑스테르나도 대학교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아우스트랄 대학교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파일:Adalogonew.png ADA 대학교
틀 바로가기




[ 펼치기 · 접기 ]

사업단참여대학
BEST Alliance [5]#파일:서울대학교 로고.svg 서울대학교파일:히토츠바시.png 히토츠바시대학파일:베이징대학 엠블럼.svg 베이징대학
Risk Management파일:고려대학교 심볼.svg 고려대학교파일:고베 대학 마크.png 고베대학파일:1200px-Fudan_University_Logo.svg.png 푸단대학파일:Phra_Kiao.svg 쭐랄롱꼰 대학교
파일:라오스 국립대 문장.png 라오스 국립대학교
Joint Campus파일:동서대학교 심볼.svg 동서대학교파일:리츠메이칸 대학교 아이콘.png 리츠메이칸대학파일:광동외어대.png 광둥외어외무대학
파일:jun_symbol_logo_basic_color.jpg 리츠메이칸APU
Energy & Environment
Science & Technology
파일:부산대학교 심벌마크.svg 부산대학교파일:규슈대학 엠블럼.svg 규슈대학파일:상하이교통대학 엠블럼.svg 상하이교통대학파일:UTM-LOGO.png 말레이시아 공과대학교
BESETO DDMP파일:서울대학교 로고.svg 서울대학교파일:도쿄대학 심볼마크.svg 도쿄대학파일:베이징대학 엠블럼.svg 베이징대학파일:싱가포르 국립대학 문장.svg 싱가포르 국립대학
Jus Commune파일:서울대학교 로고.svg 서울대학교파일:나고야대학 엠블럼.svg 나고야대학파일:인민대학.png 중국인민대학파일:싱가포르 국립대학 문장.svg 싱가포르 국립대학
파일:SKKU_Emblem.svg 성균관대학교파일:칭화대.png 칭화대학파일:상하이교통대학 엠블럼.svg 상하이교통대학
TKT파일:KAIST_emblem.svg 한국과학기술원파일:Tokyo_Institute_of_Technology.svg.png 도쿄공업대학파일:칭화대.png 칭화대학파일:NTS 아이콘.png 난양 공과대학교
ENGAGE파일:고려대학교 심볼.svg 고려대학교파일:와세다대학 문장.svg 와세다대학파일:베이징대학 엠블럼.svg 베이징대학파일:NTS 아이콘.png 난양 공과대학교
SUAE Asia파일:부산대학교 심벌마크.svg 부산대학교파일:규슈대학 엠블럼.svg 규슈대학파일:퉁지대.png 퉁지대학파일:싱가포르 국립대학 문장.svg 싱가포르 국립대학
NLIE Project파일:SKKU_Emblem.svg 성균관대학교파일:나가사키대학.png 나가사키대학파일:산둥대학 엠블렘.jpg 산둥대학파일:NTS 아이콘.png 난양 공과대학교
파일:라오스 국립대 문장.png 라오스 국립대학교
CAMPH파일:연세대학교 문장.svg 연세대학교파일:칭화대.png 칭화대학파일:베이징대학 엠블럼.svg 베이징대학파일:광동제약대 로고.png 광동제약대학
파일:오사카대학 엠블럼.svg 오사카대학파일:수정됨_천진중의약대.png 톈진중의약대학파일:상하이교통대학 엠블럼.svg 상하이교통대학파일:마히돌 대학교 로고.png 마히돌대학교
Design Leadership파일:연세미래.png 연세대학교 미래캠퍼스파일:치바대학 로고.png 치바대학파일:저장대학.png 저장대학파일:Seal_of_King_Mongkut's_University_of_Technology_Thonburi.svg.png 톤부리 킹몽꿋 기술대학교
파일:external/www.lib.shibaura-it.ac.jp/logo.png 시바우라공업대학파일:마히돌 대학교 로고.png 마히돌대학교파일:UTM-LOGO.png 말레이시아 공과대학교
KGC Int'l. Co-work
& Joint MFA Project
of Animation
파일:한예종_엠블럼.svg 한국예술종합학교파일:도쿄예대.png 도쿄예술대학파일:Communication_University_of_China_logo.png 중국전매대학파일:180px-Silpakorn_University_Logo_02.png 실파콘대학교
Marine Science
& Technology ERASMUS
파일:한국해양대학교 심볼.svg 한국해양대학교파일:도쿄해양대.png 도쿄해양대학파일:Phra_Kiao.svg 쭐랄롱꼰 대학교파일:말라야 대학교 문장.svg.png 말라야대학교
파일:상해해양대학.png 상하이해양대학파일:Kasetsart_University_Logo.svg.png 카셋삿 대학교파일:Bogor_Agricultural_University_(IPB)_symbol.svg.png 보고르 농과대학교
AFIMA Leaders Program파일:부경대학교 엠블럼.svg 부경대학교파일:나가사키대학 로고.jpg 나가사키대학파일:중국해양대학 엠블렘.jpg 중국해양대학파일:1920px-Logo_Rasmi_UMT.png 말레이시아 트랭가누대학교
A³I파일:부경대학교 엠블럼.svg 부경대학교파일:야마나시대학 로고.jpg 야마나시대학파일:항저우전자과학기술대학 로고.jpg 항저우전자과학기술대학파일:UniMAP.svg.png 말레이시아 펄리스대학교
The ACE파일:서울대학교 로고.svg 서울대학교파일:rikkyo university logo.png 릿쿄대학파일:베이징대학 엠블럼.svg 베이징대학파일:싱가포르 국립대학 문장.svg 싱가포르 국립대학
MGLD[1]
through Asian-Model Dentistry Consortium
파일:서울대학교 로고.svg 서울대학교파일:도호쿠대학 엠블럼.svg 도호쿠대학파일:베이징대학 엠블럼.svg 베이징대학파일:Phra_Kiao.svg 쭐랄롱꼰 대학교
파일:연세대학교 문장.svg 연세대학교파일:Sichuan_University_logo.png 쓰촨대학파일:471px-UI_Logo.svg.png 인도네시아 대학교
DPP-EPM[2]
Contributing to Solving Global-Scale Issues
파일:한국교원대학교 심볼.svg 한국교원대학교파일:쓰쿠바대학 로고.jpg 츠쿠바대학파일:화둥사범대학 로고.png 화둥사범대학파일:UTM-LOGO.png 말레이시아 공과대학교
파일:콘캔대학교 로고.png 콘캔 대학교파일:1280px-Institut_Teknologi_Bandung_logo.svg.png 반둥 공과대학교
ICHRDP[3]
in Asia to Foster Inclusive Minds
파일:한국외국어대학교 엠블럼.svg 한국외국어대학교파일:히로시마대학 로고.png 히로시마대학파일:BNU_logo_2.png 베이징사범대학파일:Logo_Almamater_UPI.png 인도네시아 교육대학교
파일:창춘대 로고.jpg 창춘대학파일:Kasetsart_University_Logo.svg.png 카셋삿 대학교
FHR[4] for C-Zeroization in Asia Countries파일:KMOU_LOGO.png 한국해양대학교파일:나고야대학 엠블럼.svg 나고야대학파일:상하이교통대학 엠블럼.svg 상하이교통대학파일:Phra_Kiao.svg 쭐랄롱꼰 대학교
종료된 사업단
Common Good파일:SKKU_Emblem.svg 성균관대학교파일:오카야마대학.png 오카야마대학파일:지린대학.png 지린대학
IGPTE파일:서울교육대학교 교표.svg 서울교육대학교파일:학예대.png 도쿄학예대학파일:BNU_logo_2.png 베이징사범대학
Campus Asia CJK파일:서울대학교 로고.svg 서울대학교파일:도쿄대학 심볼마크.svg 도쿄대학파일:베이징대학 엠블럼.svg 베이징대학
[1] Multimodal Global Leaders Development [2] Development Program for Professionals in Educational Policy Management [3] International Collaborative Human Resources Development Program [4] Fostering Humans Resources [5] 2023년 기준 복수학위, 교환학생, 교류행사 등 서울대, 히토츠바시, 북경대 3개교 간 적극 진행 중이며 캠퍼스아시아와 별개로 폐지설이 돌았으나 적어도 2025년까지는 변동 사항 없을 예정




[ 펼치기 · 접기 ]

상징국가
정치정치 전반 · 싱가포르 대통령 · 싱가포르 총리 · 싱가포르 정부(공무원) · 싱가포르 국회 · 탐오조사국
외교외교 전반 · 싱가포르 여권 · 영연방 · ASEAN· TPP · IPEF · APEC · 영미권 · 말레이권 · 중화권 · 미국-싱가포르 관계 · 영국-싱가포르 관계 · 호주-싱가포르 관계 · 한국-싱가포르 관계 · 대만-싱가포르 관계 · 중국-싱가포르 관계 · 홍콩-싱가포르 관계 · 일본-싱가포르 관계 · 말레이시아-싱가포르 관계 · 인도네시아-싱가포르 관계 · 인도-싱가포르 관계 · 싱가포르 비자
경제경제 전반 · 싱가포르 달러 · 아시아의 네 마리 용 · 테마섹 · 싱가포르 거래소 · OCBC · 싱가포르 텔레콤 · 싱가포르 포스트 · 블루힐릭스
국방싱가포르군(육군 · 해군 · 공군 · 징병제) · 싱가포르 경찰청 · 싱가포르 주재 미군 · 싱가포르 주재 영국군 · 파야르바르 국제공항 · 셀레타 공항
교육다중언어 · 싱가포르 국립대학 · 난양 공과대학교 · 싱가포르 경영대학 · 싱가포르 사회과학대학
문화언어 · 종교 · 교육 · 사회 · 요리(싱가폴 슬링) · 싱가포르 국립 경기장 · 싱가포르 축구 국가대표팀· 중국어(표준중국어 · 호키엔어 · 광동어 · 객가어) · 영어 · 싱가포르식 영어 · 마인어 · 타밀어 · 미디어코프 · CNA · 연합조보 · 싱가포르 영화 · 싱가포르 엑스포 · 한자(간체자 · 정체자)
인물리콴유 · 리셴룽
교통싱가포르 창이 공항 · 셀레타 공항 · 항공사(싱가포르항공 · 스쿠트 항공 · 제트스타 아시아 · 실크에어) · 싱가포르 항만 공사 · 싱가포르 MRT(싱가포르 LRT) · 말레이 철도 · SMRT · SBS Transit · 우드랜즈 역
관광관광
민족싱가포르인(중국계 싱가포르인 · 말레이계 싱가포르인 · 인도계 싱가포르인 · 베트남계 싱가포르인 · 중국계 베트남인)
기타싱가포르 주택개발청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新加坡國立大學
Universiti Kebangsaan Singapura
싱가포르 국립대학

파일:싱가포르 국립대학 로고.svg

대학 정보
슬로건
Dare to Reach the Highest
(가장 높은곳까지 올라가기를 감히 두려워하지 마라)
국가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분류국립대학
대학 설립1905년 7월 3일: Straits Settlements and
Federated Malay States Government Medical School

,(해협 식민지 및 말레이 연방 주립의학교),
1921년: King Edward VII College of Medicine
,(에드워드 7세 의과대학),
1949년: University of Malaya, Singapore Campus
,(말라야 대학교, 싱가포르 캠퍼스),
1962년: University of Singapore
,(싱가포르 대학교),
1980년 8월 8일: 싱가포르 국립대학
,(난양 대학 인수합병),
이사장타르만 샨무가라트남[1]
총장탄 응 체(Tan Eng Chye)
교원2,555명 (2018)
합격률5% ~7%
재학생총원약 50,000명 이상 (2022)
학부32,335명 (2022)
대학원16,197명 (2022)
교색[2]
NUS Orange (#EF7C00)

NUS Blue (#003D7C)
홈페이지파일:NUS 아이콘.png 공식 홈페이지
소셜 미디어파일:LinkedIn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위치

파일:196368-cropped-w1366-h500-of-1-FFFFFF-nus.png
소개 영상

1. 개요
2. 위상
3. 역사
4. 캠퍼스
5. 국제교류
6. 구성
6.4. 리콴유 공공정책대학원
6.8. 통합과학공과대학원
6.10. 용루린 의과대학
6.11. 듀크–NUS 의과대학원
6.12. 예일–NUS대학(통폐합 예정)
6.13. 용슈토 음악대학
6.14. 디자인환경대학
7. 기숙사
7.1. Halls of Residence
7.2. Student Residences
7.3. Residential Colleges
8. 입학 관련 정보
9. 출신 인물
9.1. 동문
9.2. 교원



1. 개요[편집]


싱가포르국립대학. 주로 NUS라는 약자로 많이 알려져 있으며, 한국에서는 싱국대라는 약칭으로 간간히 입에 오르내린다. 학교는 1905년에 설립되었다. 학교기금은 17억 달러 정도를 유지하고 있으며 2022/2023년도를 기준으로 48,500명 이상의 학부생/석박사생들이 재학 중이다.

싱가포르 남서부 지구의 켄트 리지 로드(Kent Ridge Rd)에 위치하며 이 행정구역 대부분이 대학 캠퍼스 안에 있다. 켄트 리지 캠퍼스는170헥타르, 약 514,250평의 캠퍼스 영역을 보유하고 있다.

근처에[3] 싱가포르 지하철 주요 내선(Singapore MRT Circle Line)인 켄트 리지 역이 캠퍼스 내에 위치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만큼 매우 가깝게 있으며, 싱가포르 MRT 동서선 클레멘티 역에서도 가까운 편이다.


2. 위상[편집]


매년 통계적으로 흔들림 없이 부동의 세계 최상위권 대학으로 꼽히고 있으며 수년간 세계대학평가인 QS랭킹을 기준으로 전세계 8~11위권을 지키고 있다.''' 또한 이변이 없는 한 거의 언제나 QS 세계 대학 랭킹에서 아시아 대학 종합 1위를 차지하고 있다. 급속도로 한인이 늘어남에 따라 이들이 여러 분야에서 주류가 될 가능성이 크다. [4]

때문에 한국에서는 국제대학평가 등을 소개할 때 자주 언급된다. 대학교 순위가 전부는 아니지만, QS평가에서 우리나라의 서울대학교뿐만이 아니라 예일대학교, 프린스턴대학교, 코넬대학교, 영국런던대학교보다도 높은 순위를 기록하고 있는 것에서 NUS의 높은 평가도를 실감할 수 있다.[5] 싱가포르의 명실상부 대표 종합대학으로, 분야를 가리지 않고 싱가포르 정부의 전폭적인 지지와 높은 국민 선호도와 국내외 인식을 갖고 있다. 졸업생 취업률과 초봉이 높은 것으로도 유명하다.

전세계 대학 입시를 생각해보았을 때, NUS에서는 매우 높은 대학 성적을 요구하며 본인이 재학한 고등학교의 유형과 응시한 대입 시험의 종류, 그리고 지원하고자 하는 학과에 따라 입학 전형이 나뉘어진다. 최근에는 싱가포르 경제의 지속적 성장과 금융시장 내에서 싱가포르의 강세 등의 요인으로 경쟁이 보다 치열해지기도 했다.


3. 역사[편집]


싱가포르말레이시아에서 독립한 것은 1965년의 일이다.[6]


4. 캠퍼스[편집]


NUS 캠퍼스


켄트 리지(Kent Ridge), 부킷 티마(Bukit Timah), 그리고 시내 중심부의 병원(Outram)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중 켄트 리지가 메인 캠퍼스 역할을 한다. 작은 도시 국가인 싱가포르와 다르게 캠퍼스는 굉장히 거대하고 편리하게 조성되어 있다. 자연적인 경관이 펼쳐지면서도 현대적인 건물과 시설들이 조화롭게 어우러진다. 특히 UTown 시설과 대부분의 건물에서 보이는 West Coast Park 쪽의 풍경이 손꼽힌다.

51만평 이상의 켄트리지 캠퍼스는 크게 컴퓨터과학&경영대학, 자연과학대학, 예술대학&박물관, 동문회관, 디자인&공과대학, 인문대학, 중앙도서관, 7종류 이상의 기숙사, 수영장이 있는 스포츠 센터, 대학 내 마을 역할을 하는 UTown 정도로 나눠볼 수 있다.

참고로 싱가포르 MRT 서클선을 타고 켄트 리지(Kent Ridge)역에서 내리면 교내 셔틀버스를 타고 메인 캠퍼스를 돌아다닐 수 있다. "NUS Next Bus"라는 자체 앱을 통해 실시간 버스 상황을 확인할 수 있는데, 셔틀버스 번호에 따라 노선이 매우 다양하게 나누어져 있으며, 학교 내 모든 주요 건물들과 주요 시설, 기숙사, 심지어는 꽤 멀리 떨어진 보타닉가든 쪽의 캠퍼스까지도 이동이 편리하다. 모든 학생들과 임직원들에게 무료로 제공되고, 배차 간격은 평균적으로는 2~10분 정도로 매우 활성화되어 있다. 한국이나 다른 해외 대학들에서는 쉽게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무척 체계화되어 있고 편리한 학생복지 시스템이다.

캠퍼스 내에 인피니티 풀을 포함하여 여러 개의 수영장과 헬스장, 도서관들을 갖추고 있으며 빵집, 미용실, 마트, 편의점, 칵테일바, 박물관, 레스토랑 등 정말 수많은 인프라를 풍부하게 갖추고 있으며 매년 새로운 인프라가 증설 되고 있다. 높은 국제적 명성에 이러한 캠퍼스 특성이 더해져 캠퍼스 투어나 워크숍, 취업 박람회 등이 하루에도 몇 번씩 진행되고 매년 수많은 나라의 방문객들이 찾아오고 있다.

5. 국제교류[편집]


영국 옥스포드 대학교, UCL, 임페리얼 칼리지, 미국 MIT, 하버드대학교, 코넬대학교, 펜실베니아 대학교 등 전부 적기 힘들 정도로 수많은 나라에서 세계적으로 널리 이름을 알린 명문대학과 다양한 교류협정을 맺고 상호 교원/교환학생 파견 및 연수, 공동연구 등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NOC라는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세계 유수 지역의 스타트업 생태계에 학생들을 파견하여 발전에 기여하고 있으며, 매 학기/방학마다 특별 프로그램을 진행하여 여러 나라에서 학점이수가 가능한 프로그램을 지원한다.

한국 대학 중에서는 서울대학교, KAIST, 포항공과대학교, 연세대학교, 고려대학교와 교환학생 협정을 체결하고 있으며 학부 별로 교환학생을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외국어대학교,한양대학교 등과 체결하고 있으며, NUS에서 이들을 심심찮게 발견할 수 있다. 성균관대학교 글로벌리더학부의 경우 캠퍼스 아시아 국비 교환학생 자격으로 파견한다.


6. 구성[편집]


2017년 9월 기준으로 모든 단과대학을 합친 학부생 수는 29,130명, 대학원생 수는 10,406명으로, 40,000명에 가까운 재학 수가 확인되었다.


6.1. 인문사회과학대학[편집]


파일:NUS _FASS_Building.jpg
NUS 인문사회과학대학

Faculty of Arts and Social Sciences, 줄여서 FASS. NUS의 단대 중에서도 가장 많은 학부생 수를 자랑한다. 보통 NUS를 생각하면 상경계열과 공대/순수과학 분야의 인식이 좋은데, 의외로 어문계열의 순위 또한 굉장히 높으며, 학생들 사이에서는 어학 수업들의 체계가 좋은 것으로도 유명하다.

2017년 이재용 삼성그룹 회장의 재판에 증인으로 출석한 적이 있는 신장섭 교수가 부교수로 재직중이다.중앙대에서 악명높은 강창희 교수가 조교수로 재직한 바있다.


6.2. 경영대학[편집]


파일:NUS_Mochtar Riady Building.jpg
Mochtar Riady 빌딩

NUS Business School, 줄여서 Biz. 이곳의 경영'학부'프로그램은 세계 10위 내에 꼽히며 MBA 또한 인기가 높다. 한국인 학생들에게 가장 인기가 많은 학과 중 하나이다.


6.3. 법과대학[편집]


파일:NUS_Law_former-raffles-college.jpg
Manasseh Meyer 빌딩

Faculty of Law, 줄여서 FoL. 부킷 티마(Bukit Timah)캠퍼스에 위치해 있다.


6.4. 리콴유 공공정책대학원[편집]


파일:1436330238phpyssMQM.jpg
리콴유 공공정책 대학원

Lee Kuan Yew School of Public Policy. 위의 법대와 함께 부킷 티마(Bukit Timah) 캠퍼스에 위치해 있다.


6.5. 정보대학[편집]


파일:20190225_School_Facade_About_Page.jpg
NUS School of Computing

School of Computing, 줄여서 SoC라고 불린다. 셔틀버스 A1, A2, D1으로 갈 수 있는데, SoC 진입로부터 좁고 경사진 급커브 구간이 계속 이어져 롤러코스터 체험을 할 수 있다. 인문사회대와 경영대 사이에 위치해 있다. 2018년 AI 연구센터가 새로이 건설되었으며 엄청난 자본력을 앞세워 교수, 연구원을 엄청나게 뽑고 있다. 기존에 COM1, COM2 두 건물을 쓰다가 2023년부터는 COM3도 추가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COM3와 Biz가 같이 사용하는 신설공간도 쾌적하다. 2023년 QS Ranking by Subjects에서 NUS의 컴퓨터/정보시스템학은 세계 6위를 차지했다. 싱가포르 현지 학생들뿐만이 아니라 국제학생들에게도 인기가 좋은 학과이다.


6.6. 자연과학대학[편집]


파일:rsz_cover.jpg
NUS 자연과학대학

Faculty of Science, 줄여서 FoS.
NUS의 자연과학은 대부분이 과목별 랭킹 10위권 내에 들고 있다.
예를 들어, 2023년 기준 수학은 13위, 화학은 8위, 약학은 10위를 기록하는 등으로 과목별로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대부분 좋은 기록을 보였다.


6.7. 공과대학[편집]


파일:800px-NUS,_Engineering_12,_Nov_06.jpg
NUS 공과대학 빌딩

Faculty of Engineering, 줄여서 FoE로 부른다. 공과 수업 또한 높은 순위와 명망을 지니고 있으며 생각보다 더 많은 수의 한국인들이 재학중이다.

그 밖에도 기초공학(Engineering Science) 학사과정이 있다.


6.8. 통합과학공과대학원[편집]


Graduate School for Integrative Sciences and Engineering, 약칭은 NGS.


6.9. 치과대학[편집]


파일:National University Centre for Oral Health.jpg
National University Centre for Oral Health

Faculty of Dentistry. 약칭은 FOD. 2019년 위 사진의 National University Centre for Oral Health로 이전했다.


6.10. 용루린 의과대학[편집]


파일:YLLSOM-buildings-1.png
NUS 용루린 의과대학 빌딩

Yong Loo Lin School of Medicine, 줄여서 Med. Duke-NUS와 달리 학부 의학과정을 제공한다.


6.11. 듀크–NUS 의과대학원[편집]


파일:duke-nus-medical-school.jpg
듀크-NUS 의과대학원 빌딩

Duke–NUS Medical School. 미국에 있는 듀크 대학교와 협력 아래 설립된 의학전문대학원이다. 미국식 의대 석박사 과정을 따라가고 있다. 캠퍼스는 우트람(Outram) 지역에 위치해 있다.


6.12. 예일–NUS대학(통폐합 예정)[편집]


파일:Yale-NUS Campus.png
예일-NUS 대학 캠퍼스

Yale-NUS College
A community of learning, Founded by two great universities, In Asia, for the world

2025년에 USP(University Scholars Program)과의 통합이 확정되었고 2021년부로 더이상 신입생을 받지 않는다.


6.13. 용슈토 음악대학[편집]


파일:yong-siew-toh-conservatory-of-music-01-rh1wsj-1024x682_orig.jpg
용슈토 음악대학 빌딩

Yong Siew Toh Conservatory of Music, 줄여서 YST. 존스 홉킨스 대학교 소속 피바디 음대와 합작 설립한 음대이다.
전 재산을 NUS 음대 건립에 기부한, 싱가포르의 갑부 용루린(Yong Loo Lin)의 딸 용슈토(Yong Siew Toh)의 이름으로 세워졌다.

6.14. 디자인환경대학[편집]


파일:NUS_School of Design and Environment.jpg
NUS School of Design and Environment 빌딩

School of Design and Environment, 줄여서 SDE로 불린다. 총 4개의 학과가 존재한다.

Clementi에 있는 Art Friend라는 미술용품점이 있는데 도구나 모형 자제들이 자주 필요하므로 이곳을 자주 방문하게 될 것이다.


7. 기숙사[편집]



7.1. Halls of Residence[편집]


총 6개의 홀(Halls) 기숙사가 있다. 홀은 해리 포터에 등장하는 영국식 기숙사와 비슷한 성격을 가지고 있다. 입학 오리엔테이션, 스포츠대회 등 각종 이벤트에 치중하는 곳으로, 다른 기숙사와 가장 구별되는 점이라면 한 학기마다 각종 스포츠 활동 등에 참여해 "Activity Point"를 쌓아야만 다음 학기에 계속 살 수 있다는 점. 즉 기숙사 활동의 참여가 매우 중요하다. 몇몇 홀은 교양 수업을 자체적으로 진행하는 경우도 있다. 대부분의 홀은 각종 동아리로 넘쳐나서 학생끼리 자주 뭉쳐다닌다. 프라이버시가 잘 보장되지 않는 특징이 있으나 다양한 학생들과의 교류가 효과적이라는 특장점이 있다. 본인의 성격을 잘 고려한 후 기숙사를 선정해야 할 것이다.

''

7.2. Student Residences[편집]



Prince George's Residences

한국 대학교의 기숙사와 가장 비슷한 형태이나 1인실이라는 점에서 특장점을 가진다. 홀이나 아래의 RC처럼 기숙사 활동을 하거나 특정 과목을 추가적으로 수강하지 않아도 되며 엄밀하게 말하자면 원룸에 가까운 형태이다. 프라이버시가 가장 잘 지켜지며 NUS의 기숙사 중에서 가장 조용한 편에 속한다. 푸드코트가 운영되고 있으며, 맛과 가격 측면에서 만족도가 좋은 편이다.

UTown Residence

싱글 룸과 기혼자 전용, 두 형태로 나뉘는 아파트 형식의 기숙사이다. 한국의 신축 고층 아파트와 흡사한 외관을 갖췄다. 싱글룸의 경우 방 4개, 욕실 하나, 화장실 하나가 있는 아파트를 거실을 공유하는 형태로 4명이 쓰게 된다. 일주일에 한 번씩 관리업체에서 청소 서비스를 제공하며 다양한 문화권에서 온 학생이 모여 사는곳이다. 최근 방 배정 현황을 보면 대체적으로 국가를 맞춰 주는 경향이 있는 듯 하다. 에어컨이 없는 North tower와 에어컨이 절반 설치되어있는 South tower 두 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주변에 식당, 운동장 등 시설이 다양하며 접근성도 뛰어나다.

7.3. Residential Colleges[편집]


명칭에 'College'가 붙은 만큼 이 형태의 기숙사는 각 프로그램에 의한 학업 과정을 동반한다. Residence College (RC)에 들어가려면 각 RC의 학업과정을 수행할 능력이 있는지에 대한 선발시험을 치러야 하는데, 논술시험(에세이)과 인터뷰를 거쳐야 한다. NUS에는 총 5개의 RC가 있으며 다음과 같다.

이 중 RVRC를 제외한 모든 RC는 메인 캠퍼스 북쪽의 University Town (UTown)에 위치하고 있으며, RVRC는 UTown은 아니지만 역시 메인 캠퍼스 내에 위치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RC는 레지던스보다는 북적거리지만 홀에 비교하면 매우 차분한 분위기다. 각 RC마다 수많은 동아리가 존재하지만 교실동이나 체육관 쪽에서 주로 활동하기 때문에 주거 공간은 대체로 조용한 편이다.

Tembusu, CAPT 및 RC4 에는 학과를 불문하고 모든 학생이 지원할 수 있으며 1, 2학년의 교양 수업만을 자체적으로 진행한다. 즉 2년동안 전공 수업은 소속 학과에서 듣고 교양 과목은 대체로 공동 주거 공간과 멀지 않은 곳에서 소규모 수업 형태로 수강하는 형식이다. 기숙사 방 수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3학년부터는 별도의 지원 절차를 거쳐 거주를 신청해야 한다.

RVRC의 경우 FASS, Biz, FoE, FoS, SoC 또는 SDE 학과에 소속된 학생만 지원할 수 있으며 기타 학과 소속인 경우 개별 문의를 해야 한다. 1, 2학년이 메인이며 3, 4학년이 거주하려면 별도의 지원 절차를 거쳐야 한다.

Cinnamon College는 NUS의 University Scholars Program (USP)에 별도로 선별된 학생의 주거공간으로, 일반적으로 입학하면서부터 4년에 걸쳐 여러 개의 과목을 추가적으로 수강하게 된다. 여기에 지원하려면 논술 시험과 인터뷰 외에 입시 점수, 각종 대회 수상 경력, 리더쉽 경력 등을 포함한 서류평가를 통과해야 한다.


8. 입학 관련 정보[편집]


싱가포르 국립대학은 수시 모집과 정시 모집으로 선발한다. 전세계 대학 입시를 생각해보았을 때, NUS에서는 매우 높은 대학 성적을 요구하며 본인이 재학한 고등학교의 유형과 응시한 대입 시험의 종류, 그리고 지원하고자 하는 학과에 따라 입학 전형이 나뉘어진다. 때문에 도피유학이 힘든 대학교 중 하나이자 전략적 유학지로 손꼽히기도 한다. 외국인 특별전형, 편입 등과 관련된 자세한 사항은 대학교의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것.

NUS의 입학 절차는 응시자가 가지고 있는 고등학교 졸업 시험에 따라 다르게 진행된다. 입학처에서 메인스트림으로 봐주고 있는 qualification은 싱가포르-캠브릿지 O-Level, Polytechnic Diploma, NUS 고등학교 디플로마, International Baccalaureate가 있다. 그 중에서도 한국인 학생들이 가장 많이 지원하는 전형은 IB/SAT+AP로, NUS에서는 IB와 SAT초고득점자, AP 10과목 이상 수료자를 정말 발에 채일 정도로 무수하게 만나볼 수 있다. 그 외의 외국 qualification은 묶어서 같이 처리되는 경향이 있다. (AP/SAT 포함). 관건은 이 5개의 qualification의 입학 절차가 지원 날짜와 합격 통보 시기가 다 다르다는 것. 자세한 것은 NUS한국학생회나 관련 유학원 유튜브에서도 확인해볼 수 있다.

외국인 학생들은 입학 후 별도의 영어 실력 테스트를 치러야 한다. 다만 고등학교 때 IB전형을 했거나 높은 영어 성적을 제출할 시 면제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Mother Tongue Language 조건이라는 것이 있는데 이는 외국인 학생들에게는 해당사항이 없으며, 싱가포리안 학생에게만 해당되는 조건이다. 인종(중국계, 말레이계, 타밀계)에 따라서 그쪽 인종의 모어(중국어, 말레이어, 타밀어) 실력을 증명해야 되는 것인데, 고등학교에서 이수한 모어 과목의 점수가 일정 점수 이상이 되어야 한다.

미국이나 홍콩 대학을 지원할 때 처럼 원서를 세이브하고 나중에 쓸 수 있는 것이 아니라 한번에 다 작성해서 제출해야 한다. 고로 에세이특기 사항은 미리 한 쪽에 적어 놓는 것을 추천한다.

8.1. 올림피아드 전형[편집]


통상적으로 입학시 시험 성적이 거의 100% 반영되나, 이공계 학과들의 경우는 국제 올림피아드나 국가별 올림피아드에서 금상 이상 수상하면 시험 성적-입학 시험이 면제되는 Special-requirement가 존재한다. 이는 NUS만이 아닌 옆의 난양공대도 적용된다.

대표적으로, 컴퓨터 과학부는 KOIIOI 성적으로 지원이 가능하다. 단 KOI는 금상 수상자 이어야하고, IOI는 모든 수상자들이 지원할수있다. KOI뿐만 아니라, IMO, IPhO 성적으로도 가능하다. 한국에서 올림피아드 성적이 교육열 논란때문에 전형자체가 폐지가 되었고 한국 생기부에 기재조차 불가능하다는 것을 생각해보면, 아이러니하다.

9. 출신 인물[편집]



9.1. 동문[편집]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National_University_of_Singapore_people 참고


9.2. 교원[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6 09:17:23에 나무위키 싱가포르 국립대학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영어로는 Chancellor. 싱가포르의 총통이 겸한다.[2] NUS Identity 참고[3] 엄밀히 말하자면 학교 소속인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앞에.[4] 기관마다 차이는 있지만 2023년 미국의 THE 세계대학평가에서도 10위권을 기록했다. 이는 우리가 알고 있는 대부분의 대학보다 높게 평가되고 있음을 나타내며 공학, 과학, 사회과학 등 과목별 랭킹으로도 거의 대부분의 과목이 15위 내의 순위에 안착 해 있다. 자세한 것은 https://www.topuniversities.com/subject-rankings/2023에서 과목별 순위를 참조.[5] 다만 QS랭킹은 로비와 광고에 의해 순위가 결정되는 경향이 강하므로 ARWU, CWTS 등의 객관적 지표 위주의 순위를 참고할 필요가 있다. 이런 학술 역량만을 평가하는 지표로는 도쿄대학이 아시아 수위를 지키고 있긴 하다.[6] 그 전엔 말레이시아의 일개 도시였으며 둘 다 영국의 식민지였다.[7] 1955년중국계 싱가포르인를 위해 중국대만 이외 지역에 최초로 설립한 중화권 학교였다.